본문 바로가기

Essay22

생각을 돕는 노트법 서문 몇 달 전 도서관에서 노트법에 관심이 많은 나의 시선을 훔친 책이 있다. “탁월함에 이르는 노트의 비밀”이라는 책이다. 비록 이 책은 "노트만 잘하면 천재가 된다"고 당차게 운을 땐 후 “노트가 전부는 아니더라” 라는 식의 용두사미 전개로 안타까움을 자아냈지만, 나의 몇 가지 노트 습관을 개선해 주었다. 이 글은 그 이후 노트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이다. 노트의 역할 먼저 노트의 역할을 분명히 해야겠다. 노트는 사고력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먼저 효과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거기서 노트가 보조할 수 있는 사고의 영역을 찾아야 한다. 노트가 보조할 수 있는 사고의 영역엔 기억력과 집중력이 있다. 사람이 망각하는 동물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알 것이다. 망각하는 이유에는 소멸론.. 2014. 8. 1.
잡지떼기에 대하여 그림을 잘 그리고 싶어서 여러 방법들을 찾아보았다. 대부분 소묘를 권했다. 하지만 소묘는 석고상이 필요했고, 걔네들은 왠지 무섭고 낯설었다. 그러던 중 잡지떼기라는 방법이 눈에 들어왔다. 잡지 한 권 펴놓고 매일 30분 이상씩 편하게 따라 그리라는 잡지떼기. 가뭄에 단비를 만난것 같았다. 꾸준히 잡지 한 권을 다 끝냈다. 실력 향상이 있긴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미묘했고, 난 뭔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내가 너무 발제자를 맹신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발제자가 잘못됐다는 것이 아니라, 발제자의 생각을 이해하지 못하고 무작정 따라했다는 것이다. 난 왜 잡지떼기를 하는가부터 생각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그림을 잘 그리기 위해서. 하지만 그림을 잘 그린다는게 무슨 뜻인지 묻자 난 생각에 잠겼다.. 2014. 3. 23.
아인슈타인과 바이올린 아인슈타인이 한창 자신의 업적을 인정받으며 막 유명인사가 됐을 무렵, 한 지방 단체의 점심회식에 초대 된 적이 있었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단체 사람들과 식사도 하고 이야기도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모임의 대표의 정중한 요청이 들어왔습니다. 사람들 앞에서 요즘 진행되고 있는 연구에 대한 발표를 부탁하는 요청이었습니다. 하지만 그 모임의 사람들은 주로 40~50대의 여성들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대부분이 과학에 관심이 없는 분들이었죠. 그 분들은 아인슈타인이라는 당대의 유명인사를 만나는 것과 그 사람의 시대적 연구에 대해 들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기쁨이었고 기대하는 바였지, 진짜로 어렵고 복잡한 연구중인 이론이 듣고 싶은 사람들은 아니었죠. 아인슈타인은 그들의 입장에서 깊게 생.. 2012. 6. 22.
말 실력의 척도는 속도가 아닌 효용성이다. 말을 못하는 이유 ? 충분히 생각하고 말하지 않기 때문! 사람들이 하는 것 중 말 만큼 자주 하면서도 실력의 편차가 큰 것은 드물다. 갑작스러운 질문에도 청산유수처럼 대답을 쏟아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일상적인 질문에도 당황하는 사람이 있다. 물론 성격의 차도 있겠지만 말에 있어 진정으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인지하지 않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말은 속도보다는 효율성이다 언어를 구사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이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속도이고, 두 번째는 효용성이다. 하지만 여기에도 우선순위가 있다. 첫째가 효용성이고 둘째가 속도이다. 말을 잘 하지 못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속도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 효용성보다는 질문을 받는 즉시 대답하려고 한다. 하지만 효용성이 없으면 속도는 무의미하다... 2012. 4. 21.
Response-ability, 응답 능력을 키우자. 책임감의 어원 단어의 어원을 배우는 것은 언제나 새롭고 신선한 충격을 준다. 원칙 중심의 리더십이란 책을 읽다가 본 Responsibility(책임감)란 단어도 그 중 하나이다. 우리 나라 말로 책임감이라고 번역된 이 단어의 어원은 Response(응답)과 -ability(능력)의 합성어이다. 응답 능력. 책임감에 대한 참으로 명쾌한 단어 해설이 아닐 수 없다.응답 능력이란 당신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Responsibility(책임감)를 가지고 있는가? 즉 자신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지고 있느냐는 말이다. 이 질문에 대답하려면 자신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를 이해해야 한다. 다행히도 Response-ability가 대답해주었다. 당신은 당신의 삶에 닥친 상황을 해결하는 주체로써 그 상황에.. 2012. 3. 29.
공공의 승리를 목표하기 전에 개인의 승리를 이루자 공공의 승리와 개인의 승리. 둘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스티븐 코비의 “원칙 중심의 리더십”이라는 책에 이런 말이 있다. 공공의 승리는 개인의 승리를 전제한다. 이 문장을 처음 접했을 때 난 무조건 공감했다. 수신제가 치국 평천하라고 했던가. 하지만 방황의 시기에 있는 지금, 난 이렇게 되물을 수 밖에 없었다. 승리? 좋다. 하지만 무엇을 위한 승리를 말하는 것인가? 성공하는 것? 능력자가 되는 것? 하지만 내가 그걸 원하는지 모르겠는데? 왜 내가 승리를 해야하지? 승리라. 승리. 참 긍정적이고 성취감을 주는 단어이다. 어느 누가 승리하고 싶지 않겠는가. 또 어느 누가 패배하고 싶겠는가. 하지만 수 많은 젊은이들이 무한 경쟁을 외치며 서로를 이기고 승리하고 패배자가 되지 않으려 하는 이 시대 속에서 .. 2012. 3. 26.